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그 가족들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현 정의연)와 윤미향 전 대표를 둘러싼 최근 논란을 두고 "정대협이 할머니들에겐 1000원 한 장 준 적 없다"며 "막대한 기부금을 받았으면서도 할머니들에겐 한 푼도 안 줬다는 것을 알게 되니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A 할머니는 17일 본지 통화에서 "정대협은 그간 과일 몇 번 사왔을 뿐 내 계좌로 1000원 한 장 보낸 적이 없다"면서 "정대협이 지금까지 그렇게 많은 돈을 받아왔다는 소식을 듣고 치를 떨었다"고 말했다. 할머니는 윤 전 대표를 "도둑×"이라고 지칭하며 비판했다. 그는 "열다섯 살, 열여섯 살 나이에 일본으로 끌려가 모진 고생을 한 할머니들의 피 값으로 호의호식하던 ×이 국회의원이 된다니 절대로 있어선 안 될 일"이라며 "국민들의 호주머니를 턴 돈을 모두 토해내라"고 말했다.

A 할머니는 정대협이 2012년 기업으로부터 받은 지정 기부금 중 8억5000만원을 들여 위안부 피해 할머니 쉼터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을 마련한 사실에 대해서도 "전혀 모르고 있다가 이번에 TV를 보고 처음 알았다"고 했다. 그는 "산 밑에 집이 너무 좋더라. 토지가 200평이라던가, 정원도 얼마나 잘해놓았는지 몰라"라며 "불쌍한 할머니들 피 값을 받아다가 (자기들이) 호의호식하는 걸 보니 치가 벌벌 떨렸다"고 말했다. A 할머니는 또 "엊그제 정의연이 49억원을 받았다고 TV에 나오는 걸 봤다"면서 "49억원을 어디다 썼다는 영수증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2020051800092_0_20200518080501702.jpg

할머니들 눈물로… 도대체 무슨 짓을 했나 - 지난 2013년 11월 25일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 개소식 당시 기념사진. 이규민(맨 뒷줄 맨 오른쪽)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자가 윤미향(뒤에서 둘째 줄 오른쪽에서 둘째)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에게 이곳을 소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 전 대표의 남편 김삼석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온라인 매체 수원시민신문에 관련 기사를 실었으나 지금은 삭제된 상태다. 맨 앞줄 오른쪽 둘째부터 위안부 피해자인 고(故) 이순덕·고(故) 김복동·고(故) 안점순·길원옥 할머니. /안성신문

 

A 할머니는 2004년에도 정대협의 기부금 사용과 관련해 비판 성명을 낸 적이 있다. 당시 A 할머니는 고(故) 심미자 할머니 등과 함께 위안부 할머니들의 모임인 '세계평화무궁화회' 명의로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이 성명은 정대협에 대해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들"이라고 했다. 또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답시고 전국에서 성금을 거둬들였지만, 우린 그 성금으로 수혜를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했다. 같은 해 이 할머니들 13명은 서울서부지법에 정대협과 나눔의 집을 상대로 '모금 행위 및 시위 동원 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지만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A 할머니는 "할머니들 피 빨아먹지 말라고 재판을 했는데 판사가 딴소리만 하더라"고 했다.

정대협과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과 정부가 주도한 지원금 문제로 여러번 갈등을 빚었다. 1997년 일본 외무성 주도로 조성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에서 할머니들에게 500만엔씩 지원했을 때 정대협은 "일본 돈을 받으면 자발적 공창(公娼)이 되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만들어진 화해치유재단에서 생존 할머니들에게 1억원씩 지원했을 때도, 정대협은 할머니들에게 돈을 받지 않도록 권유했다. 이 때문에 당시 생존 할머니 47명 중 35명만 돈을 받았다. 정대협은 별도로 대대적인 모금 운동을 통해 조성한 기부금으로 치유재단 돈을 수령하지 않은 할머니들 중 8명에게만 1억원씩 지원했다.

정의연 기부금 사용이 논란을 빚는 건 이와 무관치 않다. 일본에서 주는 돈을 받지 못하게 하면서 자신들이 국민들에게 기부받은 돈조차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의연은 2016년부터 지난 4년간 49억7344만원의 기부금을 거뒀는데, 할머니들에게 직접 지급한 기부금은 9억2014만원(18.5%)에 불과했다. 이 중 2017년 할머니 8명에게 1억원씩 총 8억원을 지원한 것이 가장 큰 지출이었다. 이를 포함해 2017년 정대협은 8억6990만원을 할머니들에게 지원했다. 이때를 제외하면, 2016년에는 30명에게 270만원(1인당 9만원꼴), 2018년에는 27명에게 2320만원(1인당 86만원꼴), 2019년에는 23명에게 2433만원(1인당 106만원꼴)만 지급했다. 각각 그해 거둬들인 기부금 수입의 0.2%, 1.9%, 3%였다.

'모인 기부금에 비해 할머니들에게 전달된 액수가 적다'는 취재진의 질문에 정의연은 지난 11일 "정의연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만을 위해 모인 단체가 아니다"라고 했다. A 할머니는 정의연의 이 같은 해명에 대해 "할머니들 팔아서 데모해놓곤 일본에서 돈 받지도 못하면서 한국에서 돈 걷어가지고는 자기네가 뭘 한다는 것이냐"고 말했다.

또 다른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B 할머니의 딸 김모씨도 비슷한 얘기를 했다. B 할머니는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1억원을 수령한 사람 중 한 명이다. 현재는 건강이 좋지 않아 대화가 힘든 상태다. 딸 김씨는 본지 통화에서 "정대협·정의연 사람들이 어머니 계좌로 돈을 보낸 적은 한 번도 없다"고 했다.

김씨는 "어머니가 정정하실 땐 어떻게든 보상을 받아야겠다는 말씀을 입버릇처럼 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때 1억원을 받고선 통장을 잠시도 몸에서 떼놓지 않았을 정도"라며 "많이 편찮으신 지금도 '내 돈 어디 있느냐'라며 돈을 찾으실 때가 있어 미리 준비해놓은 현금 수백만원을 보여드리곤 한다"고 말했다.

C 할머니의 아들 역시 "이번 논란이 불거진 후 어머니의 계좌를 꼼꼼히 살펴봤지만, 정부나 지자체 외에 정대협이나 정의연 명의로 입금된 내역은 그동안 한 번도 없었다"고 말했다.

본지가 인터뷰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그 가족들은 모두 익명을 요구했다. 이들은 "고령의 할머니들 입장에선 정의연이 주장하는 '일본의 사과와 배상'보다는 실제 배상금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기우 기자 rainplz@chosun.com]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3&aid=0003531805&date=20200518&type=1&rankingSeq=7&rankingSectionId=102

img_read.php?url=RUdsUm1SREIvRDdjd0w4bzN
"기부금 그리 받고도… 정대협이 1000원 한장 안줬다" "할머니들 피 값으로 호의호식… 윤미향, 국회의원 돼선 안돼" "할머니들 팔아서 데모… 국민들 호주머니 턴 돈 모두 토해내라" "어머니 계좌 꼼꼼히 살펴봤는데

 

 

작성자
튜닝셀프 13 Lv. (26%) 15865/17640P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링크주소 복사
퍼머링크

댓글 2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