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안 본 지 꽤 됐습니다. 차분히 신문 볼 시간도 없는 데다 웬만한 기사는 다 스마트폰으로 시시각각 접할 수 있잖아요.”
 
“스마트폰으로 모든 뉴스를 볼 수가 있고 유튜브를 즐겨 보는 시대에 요즘 누가 신문을 읽어요? 방송 뉴스도 잘 안 보는 판에···” 
 
“책보다 웹 소설이나 웹툰(만화)을 즐겨요. 책을 들고 다니는 번거로움 없이 스마트폰으로 저렴하게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으니까.”     

 
세계일보 취재진이 지난 1일 오전 출근 시간대 서울 지하철 2·3·5호선을 타고 살펴본 승객들 대부분 한 손에 쥔 스마트폰을 보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 예상했지만 ‘스마트폰 시대’ 이전에 익숙했던 종이 신문을 펼치거나 책을 넘기는 모습은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스마트폰에 꽂힌 시선들은 포털사이트에 올라 온 뉴스를 읽거나 유튜브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영화, 드라마 등을 시청하고, 아니면 게임에 꽂힌 경우가 많았다.

 

◆스마트폰에 자리 내준 종이 콘텐츠···‘독서의 계절’ 가을도 무색

취재진이 이날 출근길 혼잡도가 가장 극심한 시간이 지난 오전 9시부터 2시간 동안 출근길 지하철 안을 살펴본 결과 책이나 신문을 보는 시민은 열차 1량에서 평균 한두 명가량 만날 수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열차 혼잡도가 100%인 경우를 열차 1량 당 최대 160명이 탑승한 것으로 본다. 출근길 승객이 꽉 차 있을 때를 감안하면 1% 정도가 책이나 신문을 볼 뿐이라고 할 수도 있는 셈이다. 

이날 지하철에서 만난 시민들은 신문과 책 등 ‘종이 콘텐츠’와 멀어지는 사회 분위기를 놓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봤다. 직장인 이영준(55)씨는 “사회가 (급격하게) 바뀌고 있기 때문 아니겠느냐. 그것(신문이나 책을 멀리하는 현상)의 긍정과 부정을 따지긴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50대 남성 A씨도 “모든 정보가 담겨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게 대세이니 어쩔 수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이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대중교통에서의 미디어이용’ 보고서에 따르면, 대중교통 이용 시 스마트폰 사용율은 2017년 90.3%로 파악됐다. 2011년 67.52%였던 수치가 90%대까지 치솟은 것이다. 반면 그 외의 모든 매체의 점유율은 바닥을 쳤다. 2011년까지만 해도 신문 등 종이매체가 7.8%를 기록했는데, 2017년에는 0.7%까지 감소했다. MP3, 휴대용 라디오 등 오디오기기의 점유율도 20%에서 7.6%로 줄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흔히 가을을 가리켜 부르던 ‘독서의 계절’이란 말도 들어본 지 오래다. 정부가 독서를 권장하는 취지로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발효하고 ‘독서의 달’을 지정한 것이 올해로 25주년을 맞았지만, 책을 읽는 사람들이 점점 사라지면서 독서의 계절이란 말도 무색해진 것이다.

 

 

 

https://news.v.daum.net/v/20191107163220935

img_read.php?url=SlF3czFlUlYvVnUxUTl6MnJ
  “신문 안 본 지 꽤 됐습니다. 차분히 신문 볼 시간도 없는 데다 웬만한 기사는 다 스마트폰으로 시시각각 접할 수 있잖아요.”   “스마트폰으로 모든 뉴스를 볼 수가 있고 유튜브를 즐겨 보는 시대에 요즘 누가 신...
img_read.php?url=TTdnN0dxOTVWOEQvZWpKSTR다음 뉴스 / 2609-10-31

 

 

작성자
튜닝셀프 13 Lv. (26%) 15865/17640P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링크주소 복사
퍼머링크

댓글 5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