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2024년 완전 자율주행 수준인 '레벨 4'〈그래픽 참조〉 자율차를 양산하고, 2025년까지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 4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경기도 화성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미래차 비전 선포식'에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지난 2월 남양연구소 내 도로에서 현대차의 자율주행 수소차(넥쏘)를 타면서 스마트폰으로 메일을 확인하고 있다. 현대차는 2024년 완전자율주행 수준인 '레벨4' 자율차를 양산하고, 2025년까지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 41조원을 투자하는 내용의 미래차 비전을 15일 발표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이날 정부는 자율주행 시대를 지원하기 위해 2024년까지 제도·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2027년 완전 자율주행차(레벨 4)를 주요 도로에서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엔 나는 자동차인 '플라잉카' 인프라도 구축한다. 그러나 이날 정부 발표에는 미래차 시대의 핵심 축인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산업에 대한 계획이 빠져, 반쪽짜리 로드맵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차, 2·5년 후 레벨 3·4 양산

그동안 현대차는 2021년에 3단계 자율차를 양산하고, 로보택시(4단계) 시범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4단계 자율차 양산 계획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해 "아직 기술력이 미흡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날 현대차는 2024년까지 4단계 자율차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지난달 세계 3위 기술력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미국 앱티브와 4조8000억원대 합작 투자를 단행한 뒤 계획을 구체화시킨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미래차 분야에 올해부터 7년간 4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전기·수소차, 자율차, 모빌리티 서비스 등 연구·개발과 외부 투자에 연평균 6조원을 쏟아붓겠다는 것이다.


한편, 현대차는 이날 현대차가 수집한 약 100만대의 차량 데이터(제원·상태·운행 정보)를 공개하는 포털사이트 '현대 디벨로퍼스'도 출범시켰다. 미래차 산업은 현대차 혼자 대비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이들 빅데이터를 미래차 시대를 준비하는 스타트업들에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 고객을 위한 온라인 차계부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어 서로 윈윈"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또 수소 상용차 확산을 위해 국내 중소·중견 버스업체인 우진산전·자일대우상용차·에디슨모터스에 수소연료전지를 공급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날 2023년 신차의 절반(23종)을 순수 전기차로 출시한다는 기존 친환경차 전략을 확인하면서, 1t 트럭 전기차, 수출용 수소 트럭·수소 청소차 등을 세계 처음으로 공개했다.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가까운 미래에 고객들은 자동차를 넘어 도심 비행기, 배송 로봇 등 다양한 운송 수단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며 "현대차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2024년 자율차 인프라 구축

이날 정부는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플라잉카 지원 정책을 대거 쏟아냈다. 먼저 2027년 4단계 자율차를 전국 주요 도로에서 상용화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자율차 관련 제도, 주요 도로 통신시설 등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2030년 신차 판매 중 자율차 비중이 54%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를 현재 3800여 명에서 1000명 이하로 줄이고, 교통 정체 시간도 지금보다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가 15일 공개한 수소청소차. 차량 가운데 보이는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로 전기를 발생시켜 움직이는 청소차다. /연합뉴스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의 국내 신차 판매 비중을 33%, 세계 시장점유율은 10%를 달성한다는 목표도 내놨다. 또 중소형 트럭은 전기차로, 중대형 트럭은 수소차로 하는 전 차종 친환경차 구축 방안도 내놨다. 충전소는 2030년 660기,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2025년 1만5000기를 구축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의욕은 좋지만 정부가 민간 기업의 판매량이나 세계 시장점유율까지 예측하는 것은 중국 정부나 가능한 모델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이날 정부 발표는 구체적 실천 계획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래차 시대의 핵심인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이 빠져 있는 데다, 혁신을 막고 있는 각종 규제 개혁안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미국에선 우버가 자전거·자동차부터 기차·에어택시·비행기까지 모든 교통수단을 하나의 앱에서 결제·이용할 수 있도록 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택시업계 반발과 규제 때문에 플랫폼 영역은 정체 상태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등 자율차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3법', 수소 경제 관련 법안들도 국회에 계류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래차 시대는 '마스(MaaS·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로 대표되는 서비스 플랫폼이 주도권을 잡고 이 업체들이 수익을 거의 다 가져가는 구조"라며 "하지만 정부가 이 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다 업계 간 갈등이 첨예해 로드맵에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는 "자율주행 택시·셔틀 등은 모두 '모빌리티 서비스 산업'을 법제화해야 가능한데, 지금 정부는 여객운수법 개정조차 업계 반발에 부딪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작성자
굿맨 12 Lv. (84%) 14860/15210P

글 작성 수 458개
추천 받은 글 62개
글 추천 수 67개
가입일 19-08-19
댓글 수 582개
추천 받은 댓글 2개
댓글 추천 수 3개
최근 로그인 21-09-13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링크주소 복사
퍼머링크

댓글 1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