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글로벌 팬데믹(대유행) 공포' 강도가 갈수록 세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사상 최악에 가까운 패닉에 빠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폭락을 기록해, 서킷브레이커가 1997년 이후 처음으로 발동돼 거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뉴욕증시의 서킷브레이커는 장중 7% 이상 폭락할 때 15분간 거래를 중단시키는 제도다.

뉴욕증시를 덮친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는 앞서 국제유가가 20%대의 폭락세를 기록했다는 소식에서 비롯됐다. 특히 다우존스지수는 전날보다 무려 2만 포인트 넘게 폭락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2013.76포인트(7.79%) 폭락한 2만3851.02를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2158포인트(8.3%)까지 미끄러지기도 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25.81포인트(7.60%) 미끄러진 2746.5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24.94포인트(7.29%) 떨어진 7.950.68에 장을 마쳤다.

3대 지수 모두 이날 종가기준으로 지난 2월 기록한 최고가에 비해 약 19%나 하락하면서 '약세장(베어 마켓)'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최고가보다 주가가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으로 분류된다. 시장에서는 "뉴욕증시의 강세장은 11년만에 끝났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이날 오전 9시30분 개장과 함께 폭락하기 시작해 약 4분 만에 거래가 중지됐다. S&P 500 지수가 7% 하락,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서 15분간 거래가 중단된 것이다. 뉴욕증시는 이후 9시 49분께 거래를 재개했다.

국제유가는 1991년 걸프전 이후 하루 기준으로 최악의 하락을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24.6% 떨어진 31.1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24.1% 급락한 34.46달러에 마감했다. WTI와 브렌트유는 이날 한때 30% 이상 하락하기도 했다.

국제유가는 산유국들이 코로나19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논의해온 감산 논의가 결렬되면서 낙폭이 커졌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감산이 아니라 증산 가능성을 시사하며 원유 가격 인하에 나섰다. 사우디의 조치는 추가 감산을 반대한 러시아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저유가 국면에 대비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산유국들이 감산 합의는커녕 '원유 가격 전쟁'에 돌입한 모양새다.

이에 투자자들은 주식을 투매하고,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를 피난처로 삼았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역대 최저인 0.318%까지 떨어진 뒤 0.54%를 기록했다. 30년물 미 국채 수익률도 0.866%를 기록, 1% 밑으로 내려왔다.

영국 FTSE 100(7.69%↓), 프랑스 CAC 40 지수(8.39%↓), 독일 DAX 30 지수(7.94%↓),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 50(8.45%↓) 등 유럽 주요 증시도 줄줄이 폭락했다. FTSE 100의 낙폭은 2008년 금융위기 때 이후 12년 만에 최대다.

 

0002125637_001_20200310101804354.jpg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창궐하고 있는 이탈리아에 10일부터 전국이동제한 명령이 발동됐다. ⓒ신화=연합

 

첫 확진자 17일만에 누적 9천명 넘은 이탈리아..치사율 5% 넘어

'글로벌 팬데믹 공포'의 진원지는 이제 중국에 이어 이탈리아로 대체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하루에 1500명 안팎, 100명 안팎씩 늘고 있다. 9일 기준으로 전날 대비 확진자 1797명, 사망자 97명이 늘며 누적 확진자 9172명, 사망자 46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1일 북부 롬바르디아 주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지 불과 17일만에 한국을 추월해, 중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낸 국가로 자리 잡은 것이다. 특히 사망률은 코로나19의 치사율이라는 평균 2% 정도를 훌쩍 넘어 5%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코로나19 사망자가 확진자 대비 1%도 안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탈리아의 방역실패의 배경으로는 관광대국으로서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뒤 한달여 동안 사실상 방역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것이 최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결국 이탈리아 정부는 9일(현지시간) 저녁 10일부터 전국에 이동제한령을 발동한다고 발표했다. 업무와 생필품, 진료 등 필수적이거나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 용건이 아니라면 집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7일 밀라노·베네치아 등 1600여만명에 대한 이동 제한 '레드 존' 지정을 이틀 만에 6000만 명 국민 전체로 확대한 것이다. 모든 시민은 외출을 하려면 당국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규정을 어기면 벌금이나 3개월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이날 외교부는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폭증하고 있다면서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주와 중부 마르케주에 여행경보 2단계(황색경보·여행자제)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의 여행경보 2단계 지역은 지난달 28일 발령한 북부 3개 주(롬바르디아주·에밀리아-로마냐주·베네토주)에서 5개 주로 늘었다.

외교부는 최근 이탈리아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약 90%의 확진자가 이들 5개 주에 집중돼 해당 지역의 감염 노출 우려가 높아진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승선 기자 (editor2@pressian.com)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2&aid=0002125637&date=20200310&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4

img_read.php?url=RUdsUm1SREIvRDdjd0w4bzN
[이승선 기자] 코로나19의 ´글로벌 팬데믹(대유행) 공포´ 강도가 갈수록 세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사상 최악에 가까운 패닉에 빠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폭락을 기록해

 

 

작성자
튜닝셀프 13 Lv. (26%) 15865/17640P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링크주소 복사
퍼머링크

댓글 2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